전체 글 1677

소리

소리 안해영 가로수 그늘 따라 걷고 있다가 귀청을 찢을 듯한 매미 울음소리에 놀라 넘어질 뻔했다. 정신 줄을 놓고 걸었나 보다. 매미의 울음소리는 잦아들지 않았다. 도시의 매미들은 왜 이처럼 악을 쓰며 울어대는 것일까? 무심한 가로수 잎들은 아무 일 아니라는 듯 머리 위에서 하늘거리며 그늘을 내리고 있었다. 소리는 저마다의 존재를 드러낸다. 매미 울음소리에 놀라니 일상에서 조금은 생소했던 소리가 들린다. 어릴 적 늦잠이라도 잘라치면 어김없이 들리는 아버지의 호통은 아침잠 속으로 젖어 드는 졸음을 쫓기 일쑤였다. “해가 중천에 떴다. 어서들 나오너라.” 눈을 비비며 툇마루에 쪼그리고 앉아 해를 쳐다보아도 중천은 커녕 어스름한 동이 터오고 있을 뿐이었다. 아버지는 목소리가 커서 별명이 ‘왜가리’였다. 왜가리..

카테고리 없음 2022.12.09

발표된 글

소라의 노래 안해영 “쏴, 쏴” 바닷물이 바람과 맞장구치며 파도를 만들었다. 햇볕은 강렬 하고 몽돌은 뜨거웠다. 햇살이 바닷물에 반사각을 만들어 반짝반짝 보 석을 흩뿌린 듯 눈이 부셨다. 그 빛이 보석이었다면 잠자리채로 쓱 거둬 들였을 것이다. 보석이 아니길 다행이다. 보고 느끼며 생각하는 호사 를 누릴 수 있으니 이 얼마나 공평한 선물인가. 지난여름 바다에서 따온 소라 껍데기는 도시의 거실에 파도 소리를 데 려왔다. 바다가 보내온 가락은 어린 시절 시작 노트에 적었던 소라의 노 래였다. 파도를 퍼 올리던 바람은 알 수 없는 노래로 언덕을 휘감았고, 파도에 부딪힌 소라는 아픔을 노래했다. 산 아래 자리한 외딴집은 모락모락 연기 뿜어내는 굴뚝은 없지만, 고향의 양태 아재네 집과 닮았다. 그 집에서는 저녁나..

카테고리 없음 2022.11.24

오동나무 장

오동나무 장 안해영 anhaiyoung@hanmail.net 시장 가는 길모퉁이에 고가구를 취급하는 작은 가구점을 기웃거리는 것이 습관이 되어갔 다. 모조품 일색인 진열창 이었 지만 눈요깃거리가 제법 있었다. 갈색의 5단 서랍장은 안쪽에 있었 는데도 자꾸 눈길이 갔다. 가격이 좀 나갈 것 같아 선뜻 살수 도 없는데 왜 눈길이 그쪽으로만 가는지 알 수 없었다. 고향 집 안방 윗목에는 반질반질 윤이 나던 오동나무 장이 있었다. 장남을 결혼시키던 할아버지가 며느리를 맞이하는 기쁨으로 선물 한 파격적인 혼수품이었다고 한다 . 이음새와 자물쇠 부분에 있는 백동 장식으로 더 고급스럽게 보 였다. 오동나무 장을 생각하다 언 뜻 고가구점 안에 있던 갈색의 서랍장과 많이 닮았다는데 생각이 멈췄다. 직장 근처로 이사를 하..

카테고리 없음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