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말

우리말 바루기 "ㄹ . ㅁ"

오늘어제내일 2017. 10. 25. 20:57

~(으)러 : 공부하러 간다. 너를 보러 왔다. 구걸하러 다닌다.(목적)

~(으)려 : 무엇을 하려 하느냐? 길을 막으려 한다.(의도)

※‘~(으)려’ 뒤에는 ‘-고’를 붙여도 말이 된다.

~(으)로서 : 사람으로서 그럴 수가 있나. (신분, 자격)

~(으)로써 : 행동으로써 보인다. (수단)

※‘~(으)로서’와 ‘~(으)로써’ 중 어느 것을 써야 할지 정말 헷갈릴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서’나 ‘-써’를 아예 빼고 쓰는 것도 요령이다.

~(으)리만큼 : 싫증이 나리만큼 잔소리를 들었다.

~(으)ㄹ 이만큼 : 반대할 이는 찬성할 이만큼 많지 않다.

~라야 : 너라야 해낼 수 있다.(지정) 미성년자가 아니라야 한다.(꼭 그래야 함)

~래야 : 월급이래야 쥐꼬리만하다. 그에게 곧 가래야 하겠다.(‘라고 하여야’의 준말)

~(으)ㅁ+으로(써) : <조사> 일을 함으로(써) 낙을 삼는다.(수단)

~(으)므로 : <어미> 일을 하므로 돈이 생긴다.

※‘ㅁ으로써’가 한 말이다. 

~마는 : 가기는 가지마는 만날지 모르겠다.

~만은 : 얼굴만은 예쁘다.(단정, 한정을 뜻하는「만」의 힘준 말)

마치다 : 일을 마치다.(완료) 허리가 마치다.(결리다)

맞추다 : 입을 맞추다.(마주 대다) 보조를 맞추다.(맞도록 하다) 양복을 맞추다.(만들도록 부탁하다)

맞히다 : 문제의 답을 맞히다.(옳게 답하다) 과녁을 맞히다.(적중) 주사를 맞히다.(맞게 하다)

※퍼즐의 경우 일단 정답을 알아맞힌 후 다시 틀에 짜 맞춰야 하기 때문에 ‘퍼즐 맞추기’로 써야 한다.

※시험지의 문제와 답을 비교하는 것 역시 둘을 대 보는 측면에서 ‘맞추다’를 써야 한다.

※안성마침(안성마춤) → 안성맞춤

만큼 : ①앞의 내용에 상당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말. ②원인․근거를 나타내는 말. ③정도가 비슷하거나 그에 육박함을 나타내는 말(=만치).

※아버지만큼 컸다. 이번만큼 큰 잔치는 못 보았다. 일한 만큼 번다.

만 : 어느 것에만 한정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이번만은 안 된다. (이번만큼은 질 수가 없다 → 이번만은 질 수가 없다)

마는 : 문절의 종결어미에 붙어 그 내용을 일단 인정은 하나 그에 대한 의문․부정 따위로 그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다른 내용의 문절을 다음에 잇는 보조사.

※사고 싶다마는 돈이 없다.

매기다 : 값을 매기다. 점수를 매기다.

메기다 : 소리를 메기다. 화살을 시위에 메기다.

매다 : 넥타이를 매다. 빨랫줄을 매다.(묶다) 직장에 목을 매고 사는 신세. 김을 매다.

메다 : <타동사> ①총을 메다. 중책을 양 어깨에 메다.(짊어지다)

      <자동사> 목구멍이 메다.

※‘걸머메다’ ‘어깨에 메다’ 따위처럼 어깨 부위를 사용하는 동작은 무조건 ‘메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매무새 : 매무새가 곱다.(옷을 입은 맵시)

매무시 : 매무시를 잘해야 한다.(옷을 입고 나서 매만지는 뒷단속)

맵쌀 : 찐 메밀을 약간 말려 찧어 껍질을 벗긴 것.

멥쌀 : 메벼에서 나온 끈기가 적은 쌀.

목거리 : 목이 붓는 병.

목걸이 : 목에 거는 장신구.

목돈 : 뭉칫돈, 모갯돈.(※목돈을 만지다)

몫돈 : 나누어 가질 분담금.

몹쓸 : 아주 몹쓸 놈이다.

못쓸(못쓰다) : 얼굴이 못쓰게 됐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못쓴다. 그러면 아무 짝에도 못 쓸 재목이다.(쓰지 못하다).

※“쓰지 못하다”의 의미로 쓰일 때는 ‘못’과 ‘쓰다’를 띄어 쓰지만, “얼굴이나 몸이 축나다” “옳지 않다” 등의 의미로 쓰이는 ‘못쓰다’는 붙여 쓴다.

못미처 : <명사> 역 못미처에 담뱃가게가 있다(조사 ‘-에’를 붙여도 말이 된다).

못 미쳐 : 합격선에 못 미쳐 떨어졌다(조사 ‘-에’를 붙이면 말이 안 된다).

무치다 : 시금치를 무치다.(양념을 섞어 버무리다)

묻히다 : 땅에 묻히다.(묻음을 당한다)

묵다 : 묵은 쌀. 며칠을 묵다.(※호텔에 묶다 → 호텔에 묵다)

묶다 : 볏단을 묶다. 


'낱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바루기 "ㅅ"  (0) 2017.10.25
우리말 바루기"ㅂ"  (0) 2017.10.25
우리말 바루기 "ㄷ"  (0) 2017.10.25
우리말 바루기 'ㄴ"  (0) 2017.10.25
우리말 바루기 "ㄱ"  (0) 2017.10.25